프로그래밍/Python

[Python - 2 ] 변수, 자료형, 메소드 그리고 비교 및 논리 연산자

나무늘보Programmer 2024. 4. 1. 17:53

변수

  •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
  • 변수에는 숫자, 문자, 리스트, 딕셔너리등 거의 모든 것을 담을 수 있음
  • 하나의 변수에 하나의 값을 넣을 때
    • 변수이름 = 값
  • 두개의 변수에 하나의 값을 각각 넣을 때
    • 변수이름 1, 변수이름 2 = 값 1, 값 2
  • 변수에 값을 넣는 것을 할당(assignment)이라고 함
    • ‘=’는 할당 연산자
    • +=, /=, -=, *= 와 같은 연산자는 산술 후 바로 할당하는 문법

변수를 만드는 규칙

  • 영문 문자와 숫자를 사용할 수 있음
  • 대소문자를 구분
  • 첫 글자는 대문자로 쓰는 것을 지향
  • 문자부터 시작해야 하며 숫자부터 시작하면 안 됨
  • _(밑줄 문자)로 시작할 수 있음
  • 특수문자(+,-,*,/,$,@,&,% 등)는 사용할 수 없음
  • 파이썬의 키워드(if, for, while, and, or 등)는 사용할 수 없음

 

스네이크 케이스(snake case)와 카멜 케이스(camel case)

스네이크 케이스

  • 변수 명에 ‘_’를 추가한 경우
    • 변수명 예시 : snake_case

카멜 케이스

  • 두 개 이상의 단어로 만들어진 변수 명의 뒷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만드는 것
    • 변수명 예시 : camelCase

코드 컨벤션

  • 개발에 관련된 여러 조건을 명시하는 것들
    • 예시
      • 우리는 변수를 만들 때 스네이크 케이스로 진행하며 언더바는 두 개를 적용시켜 주세요

print() 포매팅 3가지 f-string

  • print(f’{변수명}’)
    • 예시
      • print(f’{변수명} 출력 문구’)

자료형

종류

  1. int(integer) : 정수
  2. float(float) : 실수
  3. str(string) : 문자
  4. bool(boolean) : 참 또는 거짓, true or false, 1 또는 0
  5. list
  6. tuple
  7. dict
  8. set

형변환

  • 말 그대로 형태를 변환하는 것
  •  예시
    • int → float : float(5)
    • float → int : int(5)

str : 문자열

  • 특징 : 시퀀스 자료형
    • 시퀀스란? 요소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자료형
    • 각 한 글자(공백도 포함)마다 인덱스를 가짐
    • 인데스는 0부터 시작
  • 요소 in 문자열(시퀀스 자료형)로 문자열 내부에 해당 요소가 있는지 확인 가능
    • True or False 반환
  • 문자열끼리 합치기
    • + 연산을 통해 합치기 가능
  • 문자열 복사하기
    • * 연산을 통해 복사하기 가능

슬라이싱(slicing)

  • 변수이름[start : stop : step]
  • [’ 인덱스’]에 인덱스에 -1을 넣으면 마지막을 지정

count()

  • 변수명. count(’x’) 를 통해 해당 변수에 ‘x’가 몇 개 들었는지 받아 올 수 있음

index()

  • 변수명. index(’x’)를 통해 해당 변수에 ‘x’가 몇 번째에 위치했는지(인덱스) 알 수 있음
  • 같은 ‘x’가 해당 변수에 여러 개면 가장 먼저 위치한 값의 인덱스를 알려줌

메서드

  • 어떤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작성된 코드들의 집합
  • 'as_integer_ratio', 'bit_count', 'bit_length', 'conjugate', 'denominator', 'from_bytes', 'imag', 'numerator', 'real', 'to_bytes’

매직 메서드

  • 자료형의 숨겨진 기능들
    • dir(변수 또는 자료형)으로 확인할 수 있음
  • __로 시작해서 __ 로 끝나는 메서드들
  • 특별 메서드라고도 부름

비교 및 논리 연산자

! Boolean은 옆에가 대문자 인다(True O true X)

  • 문자열은 True 값으로 본다

비교연산자

  • >
  • <
  • >=
  • <=

부등호

  • 표시
    • == 같다
    • != 같지 않다
  • 파이썬은 대소 문자를 구분함(같은 문자가 아님)

is

  • 부등호는 값만 비교를 하지만 is는 객체의 타입까지 확인한다
    • 3 == 3.0 → True
    • 3 is 3.0 → False

논리 연산자

  • 조건 1 and 조건 2
    • 곱 연산으로 두 조건 모두 참이어야 참을 반환
  • 조건 1 or 조건 2
    • 합 연산으로 두 조건중 하나라도 참이면 참을 반환
  • not
    • 부정으로 결과의 반대값을 반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