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Python

딕셔너리 : dict 딕셔너리란? 시퀀스 데이터 dict는 여러 개의 값이 일렬로 정렬되면서도, 값끼리의 연관성이 존재 dict는 대괄호(’[]’)안에 숫자를 넣으면 인덱싱 대신 들어있는 값을 키로 인식해서 키를 찾음(인덱싱 안됨) 값의 중복은 허락하나 키의 중복은 허락하지 않음 이중, 3중으로도 사용 가능함 딕셔너리 생성 방법 변수명 = {키 : 값, 키 : 값 .....} 변수명 = dict(키=값, 키=값 ...) 빈 딕셔너리 만들기 변수명 = {} 변수명 = dict() zip 함수 병렬처리를 도와줌 사용법 print(dict(zip(['1','2','3','4'], [10,20,30,40])) -> {'1':10,'2':20,'3':30,'4':40} #zip 안의 두개의 배열의 수는 꼭 맞추어..
List 시퀀스 자료형 원소들이 연속적으로 저장되는 형태의 자료형 리스트는 함수로 사용이 가능 리스트 = list() //빈 리스트 생성 리스트는 다차원으로 사용할 수 있음 만드는 방법 대괄호로 묶어주고 ‘,’(콤마)로 값들을 구분 리스트 = [값1, 값2, ....] range란? 연속된 숫자를 생산하는 기능 range(시작, 끝)를 통해 시작부터 끝-1까지의 수를 반환해 준다 range(시작, 끝, 증가)를 통해 시작부터 끝-1까지의 수를 반환해 준다 리스트와의 사용 예시 리스트 = list(range(0,10)) 리스트 = list(range(0,10,-1)) 리스트를 이용해서 변수 넣기 변수1, 변수2, 변수3 = [값1, 값2, 값3] # 값1은 변수1로 값2는 변수2로 값3은 변수3으로 할당 ..
입력과 출력 입력 : input() 변수 = input() // 변수에 입력 된 값이 할당 됨 입력되는 모든 값들은 문자열로 할당됨 input은 하나의 값만 받을 수 있음 입력의 안내 문구는 함수 안에 넣으면 안내문구를 출력할 수 있음 변수 = input('안내문구') 출력 : print() 함수에 입력 시 sep=’구분자’를 통해서 구분자를 지정해 줄 수 있음 sep의 기본값은 공백 하나(’ ‘) 함수에 입력시 end=’ 끝문자’를 통해서 끝눔자를 지정해 줄 수 있음 end의 기본값은 ‘\n’(줄 바꿈) Tip 함수와 메서드의 차이는? 함수 : 함수는 어디에 속해있지 않고 단독 모듈이라 함수를 그냥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음 메서드 : 함수의 클래스 안에 속해 있고 클래스의 멤버 변수를 이용해 구현된 것
변수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 변수에는 숫자, 문자, 리스트, 딕셔너리등 거의 모든 것을 담을 수 있음 하나의 변수에 하나의 값을 넣을 때 변수이름 = 값 두개의 변수에 하나의 값을 각각 넣을 때 변수이름 1, 변수이름 2 = 값 1, 값 2 변수에 값을 넣는 것을 할당(assignment)이라고 함 ‘=’는 할당 연산자 +=, /=, -=, *= 와 같은 연산자는 산술 후 바로 할당하는 문법 변수를 만드는 규칙 영문 문자와 숫자를 사용할 수 있음 대소문자를 구분 첫 글자는 대문자로 쓰는 것을 지향 문자부터 시작해야 하며 숫자부터 시작하면 안 됨 _(밑줄 문자)로 시작할 수 있음 특수문자(+,-,*,/,$,@,&,% 등)는 사용할 수 없음 파이썬의 키워드(if, for, while, and, o..
기본 문법 Print() 화면의 출력을 위한 명령어 괄호 안에 출력을 하고 싶은 내용을 적음 ;(세미콜론) 파이썬은 기본적으로 한 줄에 하나의 명령어를 작성 2개 이상의 명령어를 작성할 때는 세미콜로(;)을 사용하여 구분 주석 작성한 내용을 사람만 볼 수 있도록 만드는 것 #(샵)을 이용하여 한줄 주석처리 가능 “”” 을 시용하여 여러줄을 주석처리 가능 들여 쓰기 Python은 들여 쓰기가 문법 Python의 들여 쓰기는 코딩 스타일 가이드 기준 공백 4칸 코드 블록 특정 동작을 위해 코드가 모여있는 상태 Python은 들여 쓰기를 기준으로 코드 블록을 구성 사칙연산 더하기 : + 빼기 : - 곱하기 : * 나누기 / : 우리가 알고 있는 나누기 // : 몫을 반환 % : 나머지를 반환 거듭제곱 : **..
파이썬의 변수 저장 방식 파이썬은 모든것이 객체로 이루어져 있는 언어이다. 메모리 할당을 받는 방식은 동적 메모리 할당이며 메모리는 파이썬 메모리 관리자가 관리해준다. 따라서, 모든 변수는 객체의 값이 아닌 주소 값을 가리키는 방식으로 할당 된다! 만일 X, Y라는 변수에 값은 값이 3을 넣는다고 가정하면 아래와 같이 3이라는 객체의 주소 값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러한 파이썬의 특징 때문에 파이썬의 연산자인 'is'를 값 비교에 사용하면 안된다! [Python] is연산자와 ==연산자의 차이점 is연산자와 == 연산자의 차임점? 파이썬에서 두 값을 비교할때는 '=='연산자를 사용하며 비교를 하게된다. 이는 두개의 값이 같은지 비교를 하는 연산자이기 때문이다. is연산자 역시 두 값을 비교 slowprog..
is연산자와 == 연산자의 차임점? 파이썬에서 두 값을 비교할때는 '=='연산자를 사용하며 비교를 하게된다. 이는 두개의 값이 같은지 비교를 하는 연산자이기 때문이다. is연산자 역시 두 값을 비교할때 사용을 한다. 그렇다면 두 연산자의 차이점이 무엇일까? ==연산자란? '=='연산자는 비교연산자(Comparing Operator)로 두 값이 같은지를 비교하여 같으면 bool 타입의 True와 False를 반환하는 연산자이다. 즉, '==' 연산자는 두 값만 비교를 한다! 👉 등호 연산자가 뭔지 모르겠다면 이 글을 읽어보자! [Python] 파이썬의 연산자 연산자란? Python에서 연산자란 특정한 작업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기호를 말한다. 연산자는 값을 계산하거나 평가하기 위한 필요한 부호이고 아래와..
연산자란? Python에서 연산자란 특정한 작업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기호를 말한다. 연산자는 값을 계산하거나 평가하기 위한 필요한 부호이고 아래와 같은 연산자들이 존재한다. 산술 연산자(Arithmetic Operator) 복합 연산자(Assignment Operator) 비교 연산자(Comparing Operator) 논리연산자(Logical Operator) 멤버십 연산자(Membership Operator ETC .... 연산자 중에서 대표적인 5가지를 알아보자!! 산술 연산자 산술 연산자는 수에 대하여 계산 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표적으로 사용 되는 연산자는 대입,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 나머지 연산이다. 산술 연산자의 종류 및 기호는 아래와 같다. 기호 기능 사용 예시 사용 결과 ..
나무늘보Programmer
'프로그래밍/Python'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