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Science(CS)

MSA란?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MSA)란 작고 독릭적인 서비스들의 집합으로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구조를 말한다.즉,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분 가능한 여러 개의 작은 서비스로 나눠 사용잘의 요청을 처리하는 구조이다.MSA는 하나의 큰 어플리케이션을 여러개의 작은 어플리케이션으로 쪼개 변경과 조합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것으로작은 레고 블록을 조립해 최종 결과물을 만드는 형태라고 볼 수 있다.모놀리식 아키텍쳐 vs 마이크로 아키텍처모놀리식 아키텍쳐(Monolithic Architecture)전통적인 개발 상식으로 하나의 프로젝트에 모든 기능을 포함하는 방식을 말한다.모놀리식 아텍처는 전체 애플리케이션을 묶어서 개발하기 때문에, 여러개의 비지느스 로직이 추가 되면 코드베이스가 커지는 구조이다.코드 베이스가 커..
리눅스 환경에는 리소스들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명령어들이 있다.이 명령어 들에 대해서 알아보자!uname시스템과 커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uname [option]Option[-a, --all] : 전체 내용 출력[-s, --kernel-name] : 커널 명 출력[-n, --nodename] : 네트워크 노드의 호스트 명 출력[-r, --kernel-release] : 커널 릴리즈 정보 출력[-v, -kernel-version] : 커널 버전 출력[-m, --machine] : 머신 하드웨어 이름 출력[-p, --processor] : 프로세서 종류 또는 'unknown' 출력[-i,- -hardware-platform ] : 하드웨어 플랫폼 또는 'unknown' 출력[-o, --..
systemd란?systemd(System Daemon)은 Unix 시스템이 부팅후에 가장 먼저 생성된 후 다른 프로세스를 싱행하는 init역할 대체 데몬이다.주요 기능빠른 부팅 및 성능 향상Systemd는 병렬 부팅(parallel booting)을 통해 시스템 부팅 속도를 높혔다.systemd의 cgroups(Control Groups)를 이용하여 플세스 및 서비스 관리를 통해 전체적인 선능을 향상한다.단순한 구성과 관리서비스 설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unit 파일을 사용한다.각 서비스 마다 개별적인 unit파일을 가지며, 이를 통해 서비스의 동작과 설정을 정의한다.이로 인해 서비스를 추가하거나 수정할 때 더욱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다.실패한 서비스의 자동 복구서비스가 비정상적..
nslookup이란?nslookup은 DNS 서버에 질의해서 도메인의 정보를 조회하는 명령어이다.원하는 도메인의 IP 확인nslookup [도메인 명]원하는 도메인의 ip정보가 출력된다.특정 네임서버를 통해서 IP 정보 확인nslookup [도메인 명] [네임서버 or IP]입력한 네임서버를 통해서 원하는 도메인의 ip를 조회 하게된다.원하는 레코드 조회nslookup -type='옵션' [도메인 명]nslookup 명령 다음에 -type 옵션을 추가하여 원하는 레코드를 조회 할 수 있다.NS : Name Server, 도메인 네임서버를 지정MX : Mail Exchanger, 도메인의 메일 서버를 지정A : Address 도메인의 각각의 호스트에 대한 IP 정보를 지정CNAME : Canonical N..
curl이란?패킷/메시지를 네트웤로 전송하는 유틸리티다.HTTP(s)로 GET/POST 등으로 데이터를 전송 할 수 있다.사용방법자주 사용되는 옵션short 형식long 형식설명-k--insecurehttps 프로토콜에서 SSL 인증서에 대한 검증없이 연결-i--headHTTP 헤더만 보여주고 컨텐츠는 표시하지 않음-D--dump-header HTTP 헤더를 file에 기록 (덤프)-L--locationHTTP 301, 302 응답을 받은 경우 리디렉션 URL로 따라간다. --max-redirs 옵션 뒤에 숫자로 몇 번의 리디렉션까지 따라갈 것인지를 적을 수 있다. 기본 값은 50이다.-d--dataHTTP POST 요청 데이터 입력-J--remote-header-name헤더에 있는 파일 이름으로 다운로..
SSH란?Secure Shell의 줄임말로, 원격 호스트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안 프로토콜이다.기존 원격 접속은 텔넷(Telnet)방식을 이용했는데 암호화를 제공하지 않아 보안상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다.이로 인해서 암호화하는 SSH 기술이 등장하였고 현재는 접속 보안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았다.SSH의 작동 원리SSH를 구성하는 가장 핵심적인 키워드는 'KEY'이다. 사용자(클라이언트)와 서버(호스트)는 각각의 키를 보유하고 있고 이 키를 이용해 연결 상대를 인증하고 안전하게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이다.여기서 키 생성하는 방식이 두가지가 있는데 '대칭키'와 '비대칭키(공개 키)'방식이다.비대칭 키사용자와 서버가 서로의 정체를 증명해야 할때 사용되는 키이다. 비대칭키 방식에서 서버 또는 사..
👉해당 게시글은 새로운 배움이 생길때 마다 업데이트 됩니다. 레거시 코드 누군가가 남겨두고 간 코드 리팩토링 결과에 변경 없이 코드의 구조를 재조정 하는 것
👉 해당 내용은 인프런 : 개발자를 위한 컴퓨터 공학 1 : 혼자하는 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혼자하는 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강의 링크] [지금 무료] 개발자를 위한 컴퓨터공학 1: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강의 - 인프런 베스트셀러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 + 운영체제』 저자 무료 직강. 개발자들이 꼭 알아야 할 컴퓨터 구조, 운영체제 전공서 요약집., 개발자 필수지식 컴퓨터 구조와 운영체제강의 하나로 www.inflearn.com 컴퓨터 구조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는 데이터, 명령어 두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데이터 데이터는 아래의 두가지로 정의 할 수 있다. 숫자, 문자 이미지와 같은 정적인 정보 컴퓨터와 주고 받는 내부에 저장된 정보 명령어 컴퓨..
나무늘보Programmer
'Computer Science(CS)' 카테고리의 글 목록